LG DISPLAY
Exhibition Graphic Design for K-Display 2025
Exhibition Graphic Design for K-Display 2025
Design Solutions & Services
Key Visual
Exhibition Graphics System
Working Drawings
Exhibition Graphics System
Working Drawings
키비주얼
전시 그래픽 시스템
실시설계
전시 그래픽 시스템
실시설계
K-Display / IMID 2025 Exhibition Spaces
In the zones dedicated to LG Display’s heritage, stretchable technology, and sustainability, explanatory graphics were designed within a unified system. The visuals were carefully developed to ensure comfortable readability, even in the dense and dynamic environment of the exhibition hall.
In the zones dedicated to LG Display’s heritage, stretchable technology, and sustainability, explanatory graphics were designed within a unified system. The visuals were carefully developed to ensure comfortable readability, even in the dense and dynamic environment of the exhibition hall.
LG디스플레이의 헤리티지, 스트레처블 기술, 지속가능성을 시연하는 각각의 공간에서 기술을 설명하는 그래픽이 일관된 시스템 속에서 밀도 높은 전시장 상황에서도 편안하게 가독될 수 있도록 디자인되었다.
Designing the First Impression of Technology
: 기술의 첫인상을 디자인하는 일
: 기술의 첫인상을 디자인하는 일
When you enter an exhibition space, what first captures your attention is not the technology itself, but the sensitivity it conveys. The clarity of the display, the texture of the structure, and the flow of gaze shaped by graphics all begin with a single question: “Not what it does, but how it feels?” An exhibition is more than a place to showcase technology; it is the most direct stage for a brand to introduce itself to the world. For years, VEIG has built the exhibition graphic identity of LG Display, defining this work not as the design of a booth, but as the design of technology’s first impression.
Translating Technology into Visual Language
We approaches the creation of a first impression of advanced technology as an identity project in itself. “How can complex technological data and structures be communicated intuitively without losing a sense of contemporary relevance?”, “How can we convey the essence of technology while embodying the sophistication of the brand?” From these questions, we developed an exhibition graphic system that translates LG Display’s technological advancements into a refined and structured visual language. While the theme and technology of each exhibition may differ, the brand’s consistent tone and sensibility remain intact. This systematic approach functions as a kind of visual language framework, allowing each exhibition to evolve uniquely while keeping the brand identity cohesive.
Translating Technology into Visual Language
We approaches the creation of a first impression of advanced technology as an identity project in itself. “How can complex technological data and structures be communicated intuitively without losing a sense of contemporary relevance?”, “How can we convey the essence of technology while embodying the sophistication of the brand?” From these questions, we developed an exhibition graphic system that translates LG Display’s technological advancements into a refined and structured visual language. While the theme and technology of each exhibition may differ, the brand’s consistent tone and sensibility remain intact. This systematic approach functions as a kind of visual language framework, allowing each exhibition to evolve uniquely while keeping the brand identity cohesive.
전시 공간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은 ‘기술’ 보다 ‘감도’ 입니다. 전시장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의 선명도, 구조물의 질감, 그래픽이 만드는 시선의 흐름, 이 모든 요소는 하나의 질문으로부터 출발합니다. “이 기술은 어떤 인상으로 기억되어야 할까?”
전시는 기술을 ‘보여주는 공간’이자, 브랜드가 자신을 세상에 소개하는 가장 직접적인 무대입니다. 베이그는 수년간 LG디스플레이의 전시 그래픽 아이덴티티를 구축해 오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 일을 단순히 부스를 디자인하는 것이 아니라, ‘기술의 첫인상’을 디자인하는 일이라 정의합니다.
기술을 시각 언어로 번역하는 일
베이그는, ‘최신 기술의 첫인상’을 만드는 일을 하나의 아이덴티티 프로젝트로 접근합니다. “복잡한 기술 데이터와 구조물을 어떻게 시대 감각에서 벗어나지 않게 직관적으로 전달할 것인가?”, “기술의 본질을 왜곡하지 않으면서도, 브랜드의 격을 함께 담을 수 있는가?” 이 질문에서 시작된 전시 그래픽 시스템은, LG디스플레이의 기술적 진보를 정제되고 명확한 시각 구조로 전환합니다. 각 전시마다 주제와 기술은 달라지지만, 브랜드의 일관된 톤과 감도는 유지됩니다. 이는 일종의 ‘시각 언어 체계’로서, 매번 새롭게 전개되더라도 브랜드의 정체성이 흔들리지 않게 하는 시스템적 접근입니다.
전시는 기술을 ‘보여주는 공간’이자, 브랜드가 자신을 세상에 소개하는 가장 직접적인 무대입니다. 베이그는 수년간 LG디스플레이의 전시 그래픽 아이덴티티를 구축해 오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 일을 단순히 부스를 디자인하는 것이 아니라, ‘기술의 첫인상’을 디자인하는 일이라 정의합니다.
기술을 시각 언어로 번역하는 일
베이그는, ‘최신 기술의 첫인상’을 만드는 일을 하나의 아이덴티티 프로젝트로 접근합니다. “복잡한 기술 데이터와 구조물을 어떻게 시대 감각에서 벗어나지 않게 직관적으로 전달할 것인가?”, “기술의 본질을 왜곡하지 않으면서도, 브랜드의 격을 함께 담을 수 있는가?” 이 질문에서 시작된 전시 그래픽 시스템은, LG디스플레이의 기술적 진보를 정제되고 명확한 시각 구조로 전환합니다. 각 전시마다 주제와 기술은 달라지지만, 브랜드의 일관된 톤과 감도는 유지됩니다. 이는 일종의 ‘시각 언어 체계’로서, 매번 새롭게 전개되더라도 브랜드의 정체성이 흔들리지 않게 하는 시스템적 접근입니다.
K-Display / IMID 2025 Key Visual
Aligned with the slogan ‘Shaping the Future’, we created an object that expresses the core elements of display technology such as color, detail, and speed, and developed it into the exhibition’s key visual.
This image was created using AI(Midjourney).
전시의 슬로건 Shaping the Future에 맞춰, 디스플레이 기술의 핵심 요소인 컬러, 디테일 구현, 속도감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오브제를 개발하고 이를 키 비주얼로 확장하였다.
Aligned with the slogan ‘Shaping the Future’, we created an object that expresses the core elements of display technology such as color, detail, and speed, and developed it into the exhibition’s key visual.
This image was created using AI(Midjourney).
전시의 슬로건 Shaping the Future에 맞춰, 디스플레이 기술의 핵심 요소인 컬러, 디테일 구현, 속도감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오브제를 개발하고 이를 키 비주얼로 확장하였다.
The Balance of Space, Technology, and Graphics
Exhibition spaces are typically composed of hardware-driven structures. Within these settings, we treat graphics not as background elements but as an interface that defines spatial hierarchy and completes the brand tone. At this year’s K-Display, new themed zones were designed to allow visitors to directly experience LG Display’s technologies. Graphics for each zone were developed to balance the density of information and guide visitors intuitively through the experience, mak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brand immediately perceptible. At the subsequent IMID exhibition, the visual system shifted to reflect the academic nature of the event, emphasizing research credibility. By applying a clear English information structure and a restrained tone and manner, we ensured that even in data-centric environments, the brand’s aesthetic coherence remained strong. Each exhibition holds a distinct context, yet we continue to build a design language that expands brand identity through the balance of space, graphics, and information.
공간, 기술, 그래픽의 균형
전시 공간은 대부분 하드웨어 중심의 구조물로 구성됩니다. 베이그는 이 안에서 그래픽을 단순한 배경 요소가 아닌, 공간의 위계를 정리하고 브랜드 톤을 완성하는 인터페이스로 다룹니다. 올해 K-Display에서는 관람객이 직접 기술을 체험할 수 있는 ‘테마 존’들이 새롭게 기획되었습니다. 각 존의 그래픽은 정보의 밀도를 조절하고, 눈높이에 맞는 체험 동선을 설계하여 기술과 브랜드의 관계를 직관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연달아 개최된 IMID에서는 학회 성격에 맞춰 ‘연구적 신뢰감’을 시각화했습니다. 영문 정보 구조와 정제된 톤앤매너를 적용해, 기술 데이터가 중심이 되는 환경에서도 브랜드의 미적 통일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처럼 전시마다 다른 맥락을 지니지만, 베이그는 ‘공간-그래픽-정보’의 균형 속에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확장하는 디자인 언어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Exhibition spaces are typically composed of hardware-driven structures. Within these settings, we treat graphics not as background elements but as an interface that defines spatial hierarchy and completes the brand tone. At this year’s K-Display, new themed zones were designed to allow visitors to directly experience LG Display’s technologies. Graphics for each zone were developed to balance the density of information and guide visitors intuitively through the experience, mak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brand immediately perceptible. At the subsequent IMID exhibition, the visual system shifted to reflect the academic nature of the event, emphasizing research credibility. By applying a clear English information structure and a restrained tone and manner, we ensured that even in data-centric environments, the brand’s aesthetic coherence remained strong. Each exhibition holds a distinct context, yet we continue to build a design language that expands brand identity through the balance of space, graphics, and information.
공간, 기술, 그래픽의 균형
전시 공간은 대부분 하드웨어 중심의 구조물로 구성됩니다. 베이그는 이 안에서 그래픽을 단순한 배경 요소가 아닌, 공간의 위계를 정리하고 브랜드 톤을 완성하는 인터페이스로 다룹니다. 올해 K-Display에서는 관람객이 직접 기술을 체험할 수 있는 ‘테마 존’들이 새롭게 기획되었습니다. 각 존의 그래픽은 정보의 밀도를 조절하고, 눈높이에 맞는 체험 동선을 설계하여 기술과 브랜드의 관계를 직관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연달아 개최된 IMID에서는 학회 성격에 맞춰 ‘연구적 신뢰감’을 시각화했습니다. 영문 정보 구조와 정제된 톤앤매너를 적용해, 기술 데이터가 중심이 되는 환경에서도 브랜드의 미적 통일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처럼 전시마다 다른 맥락을 지니지만, 베이그는 ‘공간-그래픽-정보’의 균형 속에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확장하는 디자인 언어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Where Technology Meets Attitude
In the world of technology, what stays in people’s memory is not the technology itself but how it is shown. Through the density of graphics, the flow of gaze, and the choice of materials and color, a brand reveals how it perceives technology and how it wishes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The sophistication of this visual language ultimately builds the brand’s sense of trust and modernity. We help visitors intuitively grasp rapidly evolving technologies while experiencing both the sensitivity and credibility of the brand. In an exhibition, what matters as much as technological power is the attitude of the brand. It reflects a consideration for the first-time viewer and a desire to offer audiences a better environment in which to experience the brand. This attitude shapes the perception among global partners and investors that “LG Display designs not only technology but every detail of the experience.” Thus, an exhibition is not a one-time event; it is the most accessible and intuitive way for a brand to converse with the world. For this reason, we approach exhibitions as projects that design brand experiences.
전시를 통해 드러나는 브랜드의 태도
최신 기술의 영역에서, 사람들의 기억에 남는 것은 언제나 ‘보여지는 방식’입니다. 그래픽의 밀도, 시선의 흐름, 사용하는 소재, 색감을 통해, 브랜드가 기술을 어떻게 바라보고, 어떻게 세상과 소통하고자 하는지 보여줍니다. 이 시각 언어의 정교함이 결국 브랜드의 신뢰감과 현대성을 구축합니다. 베이그는 관람객이 빠르게 진보하는 기술력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브랜드의 감도와 신뢰를 동시에 경험하도록 돕습니다. 전시에서 핵심은 ‘기술력’만큼이나 브랜드의 ‘태도’를 보여주는 일입니다. 처음 기술을 접하는 고객의 시선을 고려하고 더 나은 환경에서 브랜드를 경험하기 바라는 관객을 위한 태도입니다. 이러한 노력은 글로벌 파트너와 투자자에게 “LG디스플레이는 기술력뿐 아니라 경험의 디테일까지 설계한다”는 이미지를 구축합니다. 이처럼 전시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브랜드가 세상과 대화하는 가장 대중적이고 직관적인 방식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베이그는 전시를 ‘브랜드 경험을 디자인하는 프로젝트’로 봅니다.
In the world of technology, what stays in people’s memory is not the technology itself but how it is shown. Through the density of graphics, the flow of gaze, and the choice of materials and color, a brand reveals how it perceives technology and how it wishes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The sophistication of this visual language ultimately builds the brand’s sense of trust and modernity. We help visitors intuitively grasp rapidly evolving technologies while experiencing both the sensitivity and credibility of the brand. In an exhibition, what matters as much as technological power is the attitude of the brand. It reflects a consideration for the first-time viewer and a desire to offer audiences a better environment in which to experience the brand. This attitude shapes the perception among global partners and investors that “LG Display designs not only technology but every detail of the experience.” Thus, an exhibition is not a one-time event; it is the most accessible and intuitive way for a brand to converse with the world. For this reason, we approach exhibitions as projects that design brand experiences.
전시를 통해 드러나는 브랜드의 태도
최신 기술의 영역에서, 사람들의 기억에 남는 것은 언제나 ‘보여지는 방식’입니다. 그래픽의 밀도, 시선의 흐름, 사용하는 소재, 색감을 통해, 브랜드가 기술을 어떻게 바라보고, 어떻게 세상과 소통하고자 하는지 보여줍니다. 이 시각 언어의 정교함이 결국 브랜드의 신뢰감과 현대성을 구축합니다. 베이그는 관람객이 빠르게 진보하는 기술력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브랜드의 감도와 신뢰를 동시에 경험하도록 돕습니다. 전시에서 핵심은 ‘기술력’만큼이나 브랜드의 ‘태도’를 보여주는 일입니다. 처음 기술을 접하는 고객의 시선을 고려하고 더 나은 환경에서 브랜드를 경험하기 바라는 관객을 위한 태도입니다. 이러한 노력은 글로벌 파트너와 투자자에게 “LG디스플레이는 기술력뿐 아니라 경험의 디테일까지 설계한다”는 이미지를 구축합니다. 이처럼 전시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브랜드가 세상과 대화하는 가장 대중적이고 직관적인 방식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베이그는 전시를 ‘브랜드 경험을 디자인하는 프로젝트’로 봅니다.
Visualizing Innovation and Technology
Collaboration with LG Display on exhibition graphics goes beyond visual decoration and represents the design of global technology communication. While technology is proven through data and demonstrations, what stays in the audience’s mind is ultimately how it is seen. We ensures that visitors intuitively grasp LG Display’s world-class innovations while simultaneously experiencing the brand’s credibility and sensibility. Moving forward, we will continue to deliver refined design solutions that evolve in step with technological advancement, helping clients bring their vision to life.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확장으로서의 전시
오늘날 브랜드 아이덴티티는 로고나 가이드라인에만 머물지 않습니다. 전시는 브랜드가 세상에 자신을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를 가장 직접적으로 구현하는 장입니다. 그 안에는 기술 철학, 고객을 향한 태도, 브랜드의 목소리가 응축되어 있습니다. 베이그는 전시를 단순히 공간을 꾸미는 일을 넘어, 브랜드의 존재 방식을 구축하는 일이라 생각합니다. LG디스플레이의 기술이 매번 새로워지는 것처럼, 그 기술을 ‘보여주는 방식’ 또한 시대와 함께 진화합니다. 베이그는 앞으로도 기업의 기술 발전 속도에 발맞춰, 브랜드가 더 나은 방식으로 세상과 만날 수 있도록 디자인 솔루션을 제안해 나갈 것입니다.
Collaboration with LG Display on exhibition graphics goes beyond visual decoration and represents the design of global technology communication. While technology is proven through data and demonstrations, what stays in the audience’s mind is ultimately how it is seen. We ensures that visitors intuitively grasp LG Display’s world-class innovations while simultaneously experiencing the brand’s credibility and sensibility. Moving forward, we will continue to deliver refined design solutions that evolve in step with technological advancement, helping clients bring their vision to life.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확장으로서의 전시
오늘날 브랜드 아이덴티티는 로고나 가이드라인에만 머물지 않습니다. 전시는 브랜드가 세상에 자신을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를 가장 직접적으로 구현하는 장입니다. 그 안에는 기술 철학, 고객을 향한 태도, 브랜드의 목소리가 응축되어 있습니다. 베이그는 전시를 단순히 공간을 꾸미는 일을 넘어, 브랜드의 존재 방식을 구축하는 일이라 생각합니다. LG디스플레이의 기술이 매번 새로워지는 것처럼, 그 기술을 ‘보여주는 방식’ 또한 시대와 함께 진화합니다. 베이그는 앞으로도 기업의 기술 발전 속도에 발맞춰, 브랜드가 더 나은 방식으로 세상과 만날 수 있도록 디자인 솔루션을 제안해 나갈 것입니다.
Client LG Display
Director Jaeyong Jang
Design Hyeyoung Jung, Sol Kim
Director Jaeyong Jang
Design Hyeyoung Jung, Sol Kim